카테고리 없음

개인사업자 폐업신고 완벽 가이드: A to Z

스점이 2025. 1. 17. 13:08

안녕하세요. 스점이입니다. 오늘은 폐업 시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정보를 준비했습니다. 폐업은 마음이 무거운 결정이지만, 때로는 새로운 시작을 위한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
폐업신고가 필요한 이유

폐업신고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. 가게 문을 닫았더라도, 공식적인 폐업신고 없이는 부가가치세, 소득세 등 세금이 계속 부과되고 보험료 부과 등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. 안 그래도 폐업해서 마음 아픈데 신고 안 해서 지출이 더 생기면 속상하겠죠.

폐업신고 방법: 2가지 선택지

1. 세무서 방문 신고

세무서에 찾아가서 비치된 폐업 신고서를 사업자등록증과 함께 제출하면 됩니다. 온라인이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이 방법이 더 편할 수도 있습니다. 다만 세무서까지 찾아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.

2. 홈택스 온라인 신고 (추천)

홈택스 링크

https://www.hometax.go.kr/websquare/websquare.wq?w2xPath=/ui/pp/index.xml&tmIdx=0&tm2lIdx=&tm3lIdx=

 

홈택스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.

먼저 인증서를 등록해야 합니다:

  1. 주민번호로 회원가입한 개인 아이디라면 회원정보에서 사업자 등록번호를 인증
  2. 미가입자는 로그인 화면에서 사업자 등록번호 인증
  3. 인증서 등록 클릭 후 사업자 등록번호 인증
  4. 발급받은 사업자 인증서로 로그인

폐업신고 절차:

  1. 로그인 후 '신청/제출'에서 '휴폐업신고' 선택

2. 사업자등록번호 확인

 

3. 필요 정보 입력

4. 신청하기 클릭

 

처리결과는 홈화면의 '민원신청 처리결과조회'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
폐업 시 꼭 챙겨야 할 4대 세금 정산

1. 부가가치세 신고·납부

  • 신고기한: 폐업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25일 이내
  • 납부대상: 잔존재화(제품, 기자재)의 잔존시가에 대한 부가가치세
  • 건물, 차량, 기계 등은 감가상각 적용한 시가 기준
  • 사업 양도의 경우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 없음

미신고 시 가산세:

  1. 무신고 가산세: 납부세액의 20% (1개월 이내 신고 시 50% 감면 가능)
  2. 납부지연 가산세: 미납세액 × 지연일수 × 0.022%

2. 종합소득세 신고·납부

  • 신고기간: 폐업연도 다음 해 5월
  • 신고대상: 1월 1일부터 폐업일까지의 종합소득
  •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 함께 신고

3. 직원 관련 지급명세서 제출

  • 일반 지급명세서: 폐업일이 속하는 달의 다다음달 말일까지
  • 일용직/근로소득간이지급명세서: 폐업일이 속하는 다음 달 10일까지
  • 미제출 시 1% 가산세 부과

4. 4대보험 정산

  • 국민연금, 국민건강보험: 폐업일로부터 14일 이내
  • 필요서류: 탈퇴신고서, 폐업사실증명원
  • 건강보험: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전환
  • 소득 없는 경우 건강보험료 조정 가능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1. 폐업신고는 꼭 해야 하나요?
  2. 폐업 후 세금 신고를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?
  3. 폐업 시 직원 처리는 어떻게 하나요?
  4. 폐업 후 건강보험은 어떻게 되나요?

바쁘시더라도 이런 필수적인 절차들은 꼭 챙기셔서 추가적인 손해를 보지 않으시길 바랍니다.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!